주기억장치에 프로세스를 적재시키지만 단편화 문제가 발생한다. 단편화란 ‘이용되지 않고 낭비되는 공간의 발생’이라고 할 수 있으며, 분할된 영역 내에서 낭비되는 공간이 발생하는 경우를 ‘내부 단편화’라 하고, 전체 영역에서 이용되지 않는 공간이 발생하는 경우를 ‘외부 단편화’라고 한다. 외부 단편화의 한 예로, 작은 크기로 분할된 영역 a가 있는 반면, 필요한 메모리 자원이 이보다 큰 프로세스들만이 메모리를 점유한다면, 이 때 이 영역a는 외부 단편화의 한 요인으로 볼 수 있다. 그러나 이런 단편화는 근본적으로는 해결할 수 없어 보인다. 프로세스의 작업이 동시에 끝나 메모리 자원이 동시에 반환될 수 없기 때문이다. 따라서 단편화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보다는, 불규칙적인 메모리 할당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..
아래 강의 정리 내용입니다. 강의 제공해주신 'Young Hyun Bae'님 감사합니다.09-1 메모리의 기본 구조와 동작 (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IB1Klmq4UPc)09-2 메모리 관리 기법 (1) (스와핑, 연속 메모리 할당) (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9uygOl-uyhA)09-3 메모리 관리 기법 (2) (페이징, 세그먼테이션) (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2gW9pTFEW0U)(정리 및 학습 중) ※ 단편화 (Fragmentation)■ 외부 단편화 (external fragmentation)● 메모리 할당이 반복됨으로써 사용할 수 없는 작은 크기의 가용 공간이 분산되어 생기는 현상■ 내부 단편화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고독
- 메시지지향미들웨어
- 페이징
- 병행성
- 수요
- 세그먼테이션
- 섹터 큐잉
- look
- vmin
- 크로스플랫폼
- 파이썬
- 동시성
- C-SCAN
- PFF
- QT
- FCFS
- Cocos2d-x
- 차이
- 스와핑
- MoM
- scan
- C-LOOK
- grpc
- 병렬성
- SSTF
- 스위프트
- 중요성
- 주식
- c#
- N-step SCAN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